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새우거리

새우거리

새우거리는 서울 센트럴부 와치벨에 위치한 환락가로, 물질계에 있는 새우건물이라는 게이트 역할의 건물과 그 건물과 연결된 인공계의 이름입니다. 물질계에는 건물로 존재하며, 인공계 중에서는 비교적 좁은 시장거리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옛날 장비들, 불법 임플란터인 야메, 영화상 카드 재생사 등 다양한 물건과 정보들이 유통되는 인공계입니다.

역사

과거 이 지역은 궁정구 노동자들의 외곽 빈민가 시장으로 철거 갈등을 빚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령국 대사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면서 상황이 변화했습니다. 대사는 살아남았지만 그 과정에서 대령국 여제에게 받은 귀한 금시계가 파손되었습니다. 빈민가의 한 시계 기술자인 새우가 그 금시계를 고쳐내었고, 이후 대사는 대령국에서 폐기 예정이었던 야전요새용 인공계 게이트시설을 빈민가에 선물했습니다.

이 인공계는 총 300명의 개체를 수용할 수 있는 폐쇄적 형태로, 이미 그릇이 내부에 준비되어 있어 바이트 소모가 거의 없이 진입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궁정구와 빈민가 모두 만족하게 되었으며, 빈민가는 이후 철거되고 새우거리라고 명명된 건물만이 남게 되었습니다.

지리와 구조

새우거리라는 이름은 시계기술자의 별명인 '새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새우거리는 물질계에 있는 새우건물과 연결되어 있으며, 건물은 수개층의 차원연결시설서버층들과 1, 2층 방문자들의 코핀이 있는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새우거리 내부에도 동일한 건물이 존재하여 물질계의 새우건물에서 인공계의 새우거리 건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 구형 기술의 인공계는 공간이 매우 좁지만 물질계 사물을 저렴하게 1:1로 옮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다른 계와는 다른 독특한 구조와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능과 역할

새우거리는 불법적이고 오래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과 인력들의 가게가 많이 존재합니다. 일반 방문자들은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거리사람1'이라 불리는 개체를 이용합니다. 새우거리에는 200명의 손님과 100명의 거주자들로 구성된 정확히 300명의 인공계 개체들이 살고 있으며, 그 외에도 새우건물 외의 방법으로 진입한 이들로 북적입니다. 이 300명의 고정 개체의 소유권은 상속을 통해 전달되어 왔습니다.

소유권과 상속

유명한 '새우'는 이미 손자에 의해 3대째 계승되었습니다. 초기 멤버들과 상속자들은 온전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지만, 양도받은 구매자들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서버건물을 임대하는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사례

예를 들어, 새우거리의 재생사 케이티는 이웃 할머니로부터 유산으로 은발머리 대령국 여성을 받았습니다. 케이티는 2차 소유자로서 퇴근 후 자신의 육체가 다른 방문자들에게 임대되며, 대충 어떻게 놀아나는지 알고 있지만 크게 신경 쓰지 않습니다. 그녀는 어차피 짧은 흑발의 동백국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주요 인물

  • 케이티: 새우거리의 재생사로, 이웃 할머니로부터 유산으로 가게와 인공계 개체를 물려받았습니다.
  • 캐롤: 케이티의 할머니로, 재생사로서 케이티에게 재능과 가게를 물려주었습니다.
  • 새우: 과거 금시계를 고쳐내어 새우거리의 기초를 세운 시계 기술자입니다.

주요 시설

  • 새우건물: 물질계에 있는 건물로, 인공계인 새우거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차원연결시설인 서버층코핀이 있는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인공계 새우거리: 물질계의 새우건물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물건과 정보들이 유통됩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역사, 그리고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통해 새우거리는 독특한 환락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새우거리.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03 03:29 저자 whtdrgon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